목록점묘화 (10)
킹머핀의 제작 일지
저는 원래 손목 터널 증후군 방지 마우스를 썼습니다. 너무 익숙해서 FPS 게임도 문제 없었죠. 하지만 지금은 여자친구가 400일 선물로 준 예전부터 갖고싶어 했던 매직 트랙패드를 쓰고 있는데요, 너무너무 편합니다! 다만 픽셀 아트 그리긴 어려워졌어요. Aseprite는 픽셀 아트 전용 앱이라 마음에 들었던 거지만, 생각해보면 철저히 픽셀 아티스트를 위한 앱입니다. 다시 말해 비전문가인 제게 보이는 요소들 중에서 반의 반도 사용하지 못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부적절한가? 그건 또 아닙니다. 분명히 쉽고 굉장히 좋은 앱이에요. 그런데.. 뭔가가 아쉽습니다.. 저는 픽셀 아트를 아이패드로 그리기로 결심했습니다. 손가락은 최고의 픽셀 페인팅 도구죠. 접근성도 올라가고, 여친에게 일일 그림..
Illume의 캐릭터를 그릴 땐 레이어를 매우 세부적으로 나누었습니다. 재활용을 하기 위함이었고, 그림자를 편하게 그리기 위해서였습니다. 먼저 몸통, 바지, 웃옷, 외투, 모발 레이어를 만듭니다. 각 레이어를 그린 후에, 각 레이어 아래에 그림자 레이어를 하나씩 추가합니다. 귀찮은 과정처럼 보이지만, 제게는 효율적이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림자를 '알파값을 조절한 검은 색'으로 미리 그리고, 상위 레이어의 옷을 보이거나 숨기면 하위 레이어의 그림자가 가려져 그림자를 다시 그릴 필요가 없었거든요. 하지만 이제 그림자를 그렇게 그리면 그리 보기 좋지 않다는 사실을 알죠. 픽셀 아트 강의 영상과 배운 점 간단 정리 역시 시작을 주저하는 나. 픽셀 아트 연습을 '재대로' 시작하기 위해 기초를 가르쳐주는 영상을 찾아..

Aseprite에서 셀을 나누어 다양한 컨셉 아트를 그려보았다. 역시 상상하는 모든 것은 실체화해야 한다. 정말 효율적이군! 이 과정에서 적절한 요소와 그렇지 않은 요소를 찾고, 그 이유를 구글 킵에 기록하고 있다. 남들이 보기엔 하찮은데 세세한 고민일 수도 있어서 블로그에는 굳이 올리지 않을 예정. (그래도 예전처럼 필요한 만큼보다 과하게 매달리지 않게 노력중이다) 내가 UX 디자인이나 게임 기획을 공부했다면 지금보다 훨씬 순조로웠겠지? 시간을 절약하려면 범위는 유지하되 간격을 줄여야 한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에서 바닥의 높이는 가장 작은 높이부터 2배 간격으로 그리는 것이 더 좋다. (하지만 실제로 그렇게 한 적이 많지 않다 ㅎㅎㅎ)

캐릭터 그림체 정하기 캐릭터는 어떻게 그리는 걸까요. 저는 그림을 잘 못 그리지만, 사람은 더욱 잘 못 그립니다. 특히 얼굴은 더더더욱 잘 못 그립니다. 픽셀 아트는 그런 섬세한 묘사를 대부분 생략하기 때문에 간 kingmuffin.tistory.com 이전 글에서 결정한 그림체에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다리 사이 간격이 2픽셀일 때 빈 공간이 테두리로 완전히 채워집니다. 마치 냉장고 자석처럼 되어버렸는데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이전 글에서 결정한 그림체의 조건은 네 가지입니다. 해상도 기준 16*32 (다리 간격을 고려) 대부분의 캐릭터는 가만히 있을 때 옆을 비스듬히 바라보고, 모든 캐릭터는 이동할 때 완전히 옆을 바라봄 테두리를 그리자 그림자는 깊이감만 표현 아마도 손봐야 할 조건은 1번..